맨위로가기

소피아 팔레올로기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피아 팔레올로기나는 모레아 전제군주국의 공주로, 동로마 제국이 멸망한 후 이탈리아에서 성장했다. 1469년 러시아의 이반 3세와 결혼하여 모스크바 대공비가 되었으며, 남편의 정치적 결정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비잔틴 제국의 의식과 궁정 예법을 크렘린 궁정에 도입하고, 몽골에 대한 조공을 중단시키는 데 기여했다. 그녀는 아들 바실리 3세를 후계자로 세우기 위해 노력했으며, 1503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로마 제국의 황녀 - 풀케리아
    풀케리아는 동로마 제국의 황족이자 아우구스타로서 동생 테오도시우스 2세의 섭정 역할을 했으며, 정녀 서약 후 교회 정책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자선 활동과 교회 건축으로 유명하지만, 반유대주의 정책은 비판받았고, 테오도시우스 2세 사후 마르키아누스와 결혼하여 제국 정통성을 유지한 후 성인으로 추대되었다.
  • 동로마 제국의 황녀 - 안나 콤니니
    유럽 최초의 여성 역사가로 알려진 안나 콤니니는 비잔티움 제국 황제의 딸로서, 아버지의 치세를 기록한 역사서 『알렉시아스』를 저술하여 비잔티움 제국 역사 연구에 기여했으나 정치적 편향성 논란도 있다.
  • 1450년대 출생 - 하인리히 이자크
    하인리히 이자크는 15세기 후반~16세기 초 플랑드르 악파 작곡가로, 막시밀리안 1세 궁정 작곡가로서 미사, 모테트, 세속 가곡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으며, 특히 《콘스탄티누스 합창곡》은 그의 대표작이자 독일어권에 네덜란드 다성 음악 양식을 전파하는 데 기여했다.
  • 1450년대 출생 - 자크 르페브르 데타플
    자크 르페브르 데타플은 15-16세기 프랑스의 인문주의자, 신학자, 성경 번역가로, 프랑스어 성경 완역본을 출판하고 종교 개혁에 영향을 미쳤다.
  • 1503년 사망 - 이극돈
    이극돈은 조선 초 훈구파 문신으로, 세조와 성종 대에 이조판서, 병조판서 등을 역임하며 《세조실록》 편찬, 《경국대전》 간행 등 국가 사업에 참여했으나, 무오사화에 연루되어 사림파로부터 비판받았다.
  • 1503년 사망 - 잉글랜드 왕녀 요크의 엘리자베스
    잉글랜드 왕 에드워드 4세의 장녀인 요크의 엘리자베스는 헨리 7세와의 결혼으로 튜더 왕조를 공고히 하고 요크 왕가와 랭커스터 왕가의 결합을 상징하며 왕비로서 예술과 문화를 후원하고 자녀 교육에 힘썼다.
소피아 팔레올로기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세르게이 니키틴의 복원, 1994년
세르게이 니키틴의 복원, 1994년
본명조이 팔레올로기나
러시아어 이름소피야 포미니치나 팔레올로크
그리스어 이름Ζωή Παλαιολογίνα
칭호모스크바 대공
배우자이반 3세
출생1440년/49년/55년 경
사망1503년 4월 7일
매장지콜로멘스코예 승천 수도원
모스크바 크렘린 미하일 대성당 (1929년)
종교동방 정교회로마 가톨릭교회
가문
가문팔레올로고스 가문
아버지토마스 팔레올로고스
어머니카테리나 자카리아
통치
통치 시작1472년 11월 12일
통치 종료1503년 4월 7일
이전트베리의 마리아
이후솔로모니아 사부로바
자녀
자녀바실리 3세
유리 이바노비치
드미트리 이바노비치
시메온 이바노비치
안드레이 이바노비치
옐레나 이바노브나
표도시야 이바노브나
예브도키야 이바노브나

2. 가족

이름설명
헬레나라자르 브란코비치와 혼인하여 세르비아의 전제공비가 되었다.
소피아 팔레올로기나모스크바 대공국이반 3세와 혼인하였다.
안드레아스 팔레올로고스
마누엘 팔레올로고스



소피아는 마누엘 2세 팔레올로고스 황제의 아들이자 모레아 전제공을 지낸 아버지 토마스 팔레올로고스와 어머니 카테리나 자카리아 사이에서 막내딸로 태어났다.[3]

3. 이탈리아에서의 삶

모레아의 전제군주 토마스 팔레올로고스의 딸로 태어난 소피아 팔레올로기나는 1460년 오스만 제국 메흐메트 2세가 모레아를 침략하여 정복한 후 로마로 망명하였다. 로마로 망명한 그녀는 그리스식 이름인 조이를 버리고 소피아로 개명하였다. 또한 로마에 머무는 동안 동방 정교회에서 로마 가톨릭교회로 개종하였다가 나중에 다시 동방 정교회 신자로 복귀하였다.[22]

1469년, 교황 바오로 2세로마 가톨릭교회동방 정교회의 일치를 위해 아내를 여읜 모스크바 대공과 혼인할 것을 주선하였다.

황실 아이들의 보살핌은 유명한 그리스 인문학자이자 신학자인 바실리오스 베사리온 추기경에게 맡겨졌다. 추기경의 서신에 따르면 교황은 소피아와 그녀의 형제들의 복지와 성장에 관심을 가졌다. 그들은 옷, 말, 하인에 대한 비용으로 매달 200크라운씩 총 3,600크라운을 받았고, 의사, 라틴어 교사, 그리스어 교사, 번역가, 한두 명의 사제를 포함한 소규모 가구 유지를 위해 추가로 100크라운을 받았다.

1466년, 베네치아 공화국은 키프로스 국왕 제임스 2세에게 소피아와 결혼할 것을 제안했지만 그는 거절했다. 1467년경, 교황 바오로 2세는 소피아를 카라치올로 공작에게 제안했지만 정식 약혼은 이루어졌으나, 결혼은 성사되지 않았다.

4. 모스크바 대공비

소피아 팔레올로기나는 모레아의 전제군주 토마스 팔레올로고스의 딸로, 1460년 오스만 제국에 의해 모레아가 정복된 후 로마로 망명했다. 로마에서 그녀는 소피아로 개명하고 동방 정교회에서 로마 가톨릭교회로 개종했다가 나중에 다시 동방 정교회로 복귀했다.[22]

1469년 교황 바오로 2세는 동서 교회의 일치를 위해 소피아에게 모스크바 대공과의 혼인을 중용했다. 소피아는 프스코프에서 환대를 받았고, 1472년 11월 12일 모스크바 우스펜스키 대성당에서 이반 3세와 결혼했다. 바실리오스 베사리온 추기경이 교황의 명을 받아 모스크바에 파견되었으나, 임무는 실패했다.

소피아 팔레올로기나의 초상화를 보는 이반 3세.


소피아는 남편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몽골에 대한 조공 중단(1480년)을 이끌어냈다. 또한 비잔티움 제국의 의식과 궁정 예법을 크레믈린 궁정에 도입하고, 모스크바를 ‘제3의 로마’로 칭하는 것을 선호했다. 소피아는 전통적인 러시아 귀족 여성들과 달리 서유럽 왕비들처럼 대외 활동을 했다. 그녀는 아들 바실리 3세에게 왕위를 물려주기 위해 노력했고, 이는 왕위 계승 분쟁을 야기했다.

트베리의 마리아가 1467년에 사망 한 후, 이반 3세는 1472년에 소피아와 재혼하였다. 교황 바오로 2세는 가톨릭 교회의 영향력을 강화하고 궁극적으로 정교회와 가톨릭 교회를 통합하려는 희망에서 이 결혼을 제안했다.

협상은 3년 동안 지속되었으며, 관련 내용은 러시아 연대기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 1469년: 바실리오스 베사리온 추기경 사절단이 모스크바에 도착, 이반 3세는 긍정적 답변을 하였다. 이반 프랴진이 교황청에 파견되었다.
  • 1472년: 프랴진이 소피아를 데리러 로마로 갔다. 결혼식은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대리인으로 진행되었다. 소피아는 발트 해를 거쳐 모스크바에 도착했다.


소피아는 가톨릭을 대표하려던 바티칸의 계획과 달리, 결혼 직후 정교회로 돌아갔다.[7] 이반 3세와의 공식 결혼식은 1472년 11월 12일 성모 승천 대성당에서 거행되었다.[8][9]

소피아를 위해 특별한 저택과 정원이 건설되었으나, 1493년 모스크바 대화재로 소실되었다. 소피아는 테렘에 갇히지 않고 외국 대표들을 맞이하는 등 서유럽 여왕들과 비슷한 행보를 보였다.[5] 암브로지오 콘타리니는 소피아가 자신을 정중하게 맞이했다고 기록했다.

1480년, 아흐마드의 침략 당시 소피아와 가족들은 벨로제르스크로 피신했다. 로스토프의 주교 비사리온은 대공에게 아내와 자녀에 대한 과도한 애착을 경고했다.[11]

4. 1. 정치적, 문화적 영향

모스크바 대공국의 대공비 소피아 팔레올로기나는 남편인 이반 3세의 정치적 결정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소피아는 통찰력 있는 인물로 묘사되었으며, 이반 3세가 그녀에게 전적으로 의지한다는 말이 돌 정도였다. 그녀는 이반 3세에게 몽골에 대한 조공을 중단할 것을 요청했고, 결국 1480년 조공이 중단되었다. 1472년, 소피아는 남편이 몽골 대표에게 보인 형식적인 조공 행위에 격분하여, 몽골과의 종속 관계를 포기하도록 설득한 것으로 추정된다.[5]

소피아는 화려했던 비잔티움 제국의 의식과 궁정 예법을 크레믈린 궁정에 도입했으며, 모스크바를 ‘제3의 로마’라고 부르는 것을 좋아했다.

소피아는 당시 러시아의 다른 귀족들과 왕실 여성들과 달리, 가정생활에만 충실한 전통적인 러시아식 관례를 따르지 않고 서유럽의 왕비들처럼 유럽에서 온 방문 사절단을 환영하는 행사를 주관했다.

소피아의 재혼은 궁정 내 긴장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했다. 소피아의 "교활한" 성격과 남편이 그녀의 제안에 따라 행동한다는 소문 때문이었다.[1] 얼마 지나지 않아 궁정은 왕위 계승자인 이반 청년을 지지하는 파와 소피아를 지지하는 파로 나뉘었다. 1476년, 베네치아인 암브로지오 콘타리니는 왕위 계승자가 데스포이나의 음모로 인해 아버지의 총애를 잃었다고 언급했다. 여기서 데스포이나는 "부인"을 뜻하는 비잔틴 궁정 칭호이다.

소피아는 아들 바실리 3세에게 왕위를 물려주기 위해 노력했다. 임종 직전, 소피아는 남편에게 마지막 소원으로 손자인 드미트리 대신 바실리에게 왕위를 물려줄 것을 청원했다. 1497년, 소피아와 바실리는 드미트리를 살해하려는 음모에 연루되어 궁정에서 추방되기도 했으나, 1499년 복귀했다. 1502년, 이반 3세는 드미트리와 그의 어머니를 감옥에 가두고, 바실리를 새로운 대공으로 즉위시켰다.

4. 2. 왕위 계승 분쟁

소피아 팔레올로기나의 재혼은 궁정 내 긴장의 주요 원천 중 하나였다.[1] 얼마 지나지 않아 궁정은 소피아를 지지하는 파와 왕위 계승자인 이반 청년을 지지하는 파로 나뉘었다. 1476년, 베네치아인 암브로지오 콘타리니는 왕위 계승자가 데스포이나의 음모로 인해 아버지의 총애를 잃었다고 언급했다. 여기서 데스포이나는 "부인"을 뜻하는 비잔틴 궁정 칭호이다.[5]

1474년부터 1490년까지 소피아는 5명의 아들과 6명의 딸, 총 11명의 자녀를 낳았다. 소피아의 장남 바실리의 탄생에는 라도네시의 세르기우스와 관련된 전설이 전해진다.

1483년 1월, 이반 청년이 엘레나와 결혼하면서 또 다른 긴장이 발생했다. 엘레나는 슈테판 3세의 딸이었다. 왕위 계승자의 새 아내는 1483년 10월 10일 아들 드미트리를 낳은 후 궁정 암투에 휘말렸다. 1485년 트베리 병합 후, 이반 3세는 이반 청년을 이 영지의 대공으로 임명했다. 1480년대 동안 이반 청년의 지위는 안정적이었지만, 소피아의 지지자들은 약해졌다. 소피아는 친척들에게 요직을 얻어주지 못했고, 남동생 안드레아스는 모스크바를 떠났으며, 조카 마리아는 남편과 함께 리투아니아로 도망쳐야 했다.[12][13]

1490년경, 이반 청년이 통풍에 걸리면서 새로운 요인이 작용했다. 소피아가 부른 베네치아 의사 레온은 이반 3세를 치료할 수 있다고 장담했지만 실패했고, 이반 청년은 1490년 3월 7일에 사망했다. 레온은 처형되었고,[14] 소피아가 이반 청년을 독살했다는 소문이 퍼졌지만, 현대 역사가들은 증거 부족으로 이를 확인할 수 없다고 본다.

1497년, 소피아와 바실리는 드미트리를 살해하려는 음모에 연루되어 궁정에서 추방되었다.[15] 1498년 2월 4일, 성모 승천 대성당에서 드미트리가 대공으로 즉위했지만, 소피아와 바실리는 1499년 중반에 복귀했다.

1502년 4월 11일, 왕위 다툼은 끝났다. 이반 3세는 드미트리와 엘레나를 감옥에 가두고, 4월 14일 바실리를 새로운 대공으로 즉위시켰다. 드미트리와 엘레나는 감옥으로 이송되었다.

드미트리와 엘레나의 몰락은 모스크바-노브고로드 종교 개혁 운동의 운명도 결정지었다.[16] 1503년 종교 회의에서 운동 지도자들이 처형되었고, 엘레나는 1505년 1월 18일, 드미트리는 1509년 2월 14일에 감옥에서 사망했다.[17]

5. 죽음

소피아의 아들 바실리 3세의 즉위는 그녀의 생애에서 마지막으로 중요한 사건이었다. 소피아는 1503년 4월 7일에 사망했으며, 남편 이반 3세1505년 10월 27일에 사망했다.

소피아는 크렘린의 승천 수도원 지하 묘실에 있는 거대한 흰색 석관에 묻혔으며, 이반 3세의 첫 번째 부인인 트베리의 마리아의 묘 옆에 안치되었다. 석관 뚜껑에는 "소피아"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1929년 소련 정부의 명령에 따라 승천 수도원은 철거되었고, 소피아와 다른 왕족 여성들의 유해는 대천사 성당 남쪽 확장 부분의 지하 묘실로 옮겨졌다.[22]

1929년 소피아 팔레올로기나의 묘 파괴.

6. 자녀

소피아는 이반 3세와의 사이에서 9명의 자녀를 두었다.

이름출생사망비고
엘레나1474년 4월 18일1476년 5월 9일요절
표도시아1475년 5월요절
엘레나1476년 5월 19일1513년 1월 20일알렉산데르 야기에우워 (폴란드 국왕이자 리투아니아 대공)와 결혼
바실리1479년 3월 26일1533년 12월 3일모스크바 대공
유리1480년 3월 23일1536년 8월 3일드미트로프 공작, 감옥에서 굶어 죽음
드미트리1481년 10월 6일1521년 2월 14일우글리치 공작
에우도키아1483년 2월1513년 2월 8일타타르족의 카잔 차르 후다쿨(세례명: 표트르)과 결혼[18][19][20]
엘레나1484년 4월 8일요절
표도시아1485년 5월 29일1501년 2월 19일홀름 공작 바실리와 결혼
시메온1487년 3월 21일1518년 6월 26일칼루가 공작, 반역 혐의로 리투아니아로 도주
안드레이1490년 8월 5일1537년 12월 11일스타리차 공작, 감옥에서 살해됨


7. 대중문화

2016년 러시아의 텔레비전 드라마 ''소피아''에서 마리야 안드레예바가 소피아 팔레올로기나를 연기했다.[21]

도로시 더넷의 역사 소설 시리즈인 니콜로 가문에서 소피아는 15세기 말을 배경으로 조연으로 등장한다.

참조

[1] 논문 Renaissance Influences and Religious Reforms in Russia: Western and Post-Byzantine Impacts on Culture and Education (16th–17th Centuries) https://www.cambridg[...] 1972
[2] 논문 Sofia Palaiologina in Life and Legend https://brill.com/vi[...] 2018-11-21
[3] 간행물 Sophia Palaiologina
[4] 서적 The Fall of Constantinople Cambridge 1969
[5] citation Ivan den förskräcklige
[6] 웹사이트 Essays on the Latin Orient https://books.google[...] 1921
[7] 웹사이트 Portrait of Sophia Palaeologus http://www.nkj.ru/ar[...]
[8] 웹사이트 Fryazy and Greeks with Princess Sophia of Rome http://ricolor.org/h[...]
[9] 웹사이트 Sophia Palaeologus - Greek princess on the Russian throne http://www.ellada-ru[...]
[10] 문서 terems
[11] 문서 Независимый летописный свод 80-х гг. XV в.
[12] 웹사이트 Revived Russia http://annales.info/[...]
[13] 서적 Ivan III
[14] 논문 The Dynastic Crisis 1497-1502 1960-12
[15] 서적 Medieval Russia 980-1584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16] 웹사이트 Ahead of their time? The 15th century Reformation in Russia' http://circle.advent[...]
[17] 서적 Notes on Muscovite Affairs 1549
[18] 문서 Rostislav Rostislavovich and all his siblings are descendants of Ivan III of Russia|Ivan III and Sophia Palaiologina through their paternal grandmother, Alexandra, Princess Galitzine, and so are all living members of the House of Galitzine. This genealogy is cited on Solokov 2007 and the Russian Wikipedia
[19] 서적 The offspring of Rurik. A complete list of princes and nobles, the descendants of Rurik - the first Russian prince, founder of the Rurik dynasty and Russian statehood, relatively published to date 2007
[20] 문서 The ancestor of all living Galitzines, Andrey Andreevich d.1638, was the son of Irina Ivanovna Mstislavskaya d. 1621, daughter of van Fedorovich Mstislavsky d. 1586, son of Anastasia Petrovna Ibragimovna d. 1541, daughter of the Khazar Prince Khudai-Kul and Eudokia Ivanovna of Moscow (1492-1513), daughter of [[Ivan III of Russia|Ivan III]] and Sophia Palaiologina.
[21] 웹사이트 Уроки истории: канал «Россия 1» начинает показ исторического сериала «София» http://tricolortvmag[...] 2016-11-28
[22] 인용 Ivan den förskräckli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